안녕하세요
오늘은 설비나 플랜트 공사시 자주 들어가는
밸브 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밸브는 종류도 많고
종류 안에서도 재질에 따른 분류, 시트 종류에 따른 분류, 자동용이나 수동이냐
선택사항이 너무나도 많아 유저들은 늘 고민입니다.
이러한 고민을 조금이나마 해결해드리기 위해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밸브선정 / 밸브설계
우선, 앞서 설명드렸듯이 밸브의 선정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설비의 수명, 가동률, 작업환경 등이 밸브의 선정에서도 좌우될 수 있습니다.
밸브를 선정할 때에는 우선 1차적으로 아래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1) 적용 규격 및 사용용도
(예를 들면 체크밸브의 경우, 역류방지 역할을 하며 압력용기의 경우 Safety Valve(안전변)이 설치되어야 하며, 유량조절을 하는 컨트롤 밸브 등 사용용도를 잘 고려하여야 합니다.)
2) 유체의 종류
3) 유량
4) 사용온도
5) 사용압력
6) 경제성
7) 사용빈도
8) 환경 (설치환경 및 진동, 주위온도 등)
이러한 요소들을 경험과 자료에 의해 선정되어야 합니다.
1. 밸브의 구경 결정
1) 밸브의 구경을 결정하는 요소는 배관에 필요로 하는 적정한 유량을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기준은 유량계수(Cv)입니다. 이 계수는 각각 밸브 상스로서 밸브 크기결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유량계수(Cv)는 60F(15℃)의 물이 밸브 출입구의 차압을 1PSIG(0.07kgf/㎠) 유지시키며 흐를 때 그 유량(gal/min)을
가지는 값입니다. (추후에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할께요. 밸브에서 중요한 요소중 하나임)
3) 호칭경 4''(100A) class 150 유량계수(Cv) 밸브별 비교표 (밸브 Maker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을 수 있음)
2. 연결방법에 따른 구분 : 밸브가 압력용기나 배관에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1) 기계적 접속
① Flange 형 : Flat face, Raised face, Ring type joint, Groove, Male & Female 등 (압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② 나사식 : 호칭 4'' 이하 소형 및 저압밸브에 사용
③ 유니온형 : 소형 청동밸브에 사용
※ 밸브설치, 보수 교환등에 유리하고, 접속부분에 누설 염려가 없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2) 용접 접속
① Butt Weld : 호칭 2-1/2'' 이상에 주로 사용
② Soket Weld : 호칭 2'' 이하 소형에 주로 사용
※ 발전, 플랜트 등의 고온, 고압라인에 장기간에 걸쳐 연결부를 무보수와 무누설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합니다.
(압력에 따라 밸브 End부의 Sch No.가 결정합니다)
※ 합금강은 용접 예열 및 후 열처리가 필요합니다.
※ 용접 시 밸브의 시트면이 용접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 설치, 수리 교환 등이 어렵습니다.
3. 온도에 따른 결정 : 온도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는 밸브 시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밸브 시트 특성표는 아래 링크 글을 참조 해주시면 됩니다.
↓ ↓ ↓ ↓ ↓ ↓ ↓
밸브 시트 (seat) 특성과 밸브 선정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소개해드릴 내용은 밸브 시트(seat)입니다. 구동부를 제외한 밸브만 세부적으로 본다면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어요. 밸브 바디, 유체가 흐르는 것을 재개폐를 하는 디스크,
owen0201.tistory.com
4. 유체에 따른 밸브재질 선정
업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