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터플라이 밸브는 플랜트 산업 현장에서 뺴놓을 수 없는 밸브중 하나인데요.
그 이유중 하나가 바로 타밸브에 비해 가벼운 무게와 단가 때문이예요.
그러면 이 버터플라이 밸브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 져있는지에 대해 한번 알아봐요.
장점
1. 동일구경 타 밸브에 비해 소형 경량화로 설치 및 취급 용이
(게이트밸브의 60%, 볼밸브의 약 20%정도 가볍다)
2.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으며 유지보수가 용이
3. 대형밸브 제작에 용이하고 타 밸브에 비해 제작비용이 저렴
(이게 플랜트 현장에서 사용하는 가장 큰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결국은 단가 싸움이니깐요)
단점
1. 디스크와 시트의 기밀유지 기술이 타 밸브에 비해 까다로움
2. 유체흐름에 직접 디스크가 접촉되기때문에 개폐시 진동 및 소음이 발생
3. 밸브가 커질수록 디스크가 받는 압력과 운전토크가 높아져 주로 저압용으로 사용
버터플라이 밸브는 과거
Concentric Butterfly Valve(동심형)
↓
Single Butterfly Valve(단일편심형)
↓
Double Butterfly Valve(이중편심형)
↓
Triple Butterfly Valve(삼중편심형)
현재 이렇게 까지 발전을 했어요.물론 삼중편심형만 쓰는것은 아니고
현장 상황에 따라 동심형도 많이 쓰이기도 하고 이중편심형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먼저 동심형 구조입니다.
버터플라이밸브의 가장 기본형이며
단가도 가장 저렴합니다.
사용압력은 20kgf/cm2 이하에 사용하며
사용시트는 EPDM(고무), PTFE(순수테프론) 사용합니다.
사용온도는 주로 -20℃~100℃ 이지만 시트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
2. 단일편심형 구조입니다.
동심형 구조에서 간격띄우기(OFFSET)을 1번 한 구조입니다.
사용압력은 20kgf/cm2 이하에 주로 사용하며
사용시트는 PTFE(순수테프론), RTFE(혼합테프론)을 사용하며
사용온도는 주로 -40℃~180℃ 이지만 시트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
3. 이중편심형 구조입니다.
버터플라이 밸브 간격띄우기(OFFSET)을 2번 한 구조입니다.
사용압력은 30kgf/cm2 이하에 주로 사용하며
사용시트는 PTFE, RTFE, PEEK를 주로 사용하며 METAL SEAT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용온도는 SEAT에 따라 천차 만별이지만 -40℃~250℃ 정도가 평균입니다.
4. 삼중편심형 구조입니다.
버터플라이 밸브 간격띄우기(OFFSET)을 3번 한 구조입니다.
사용압력은 40kgf/cm2 이하에 주로 사용하며
사용시트는 METAL을 주로 사용합니다.
사용온도는 -40℃~350℃ 정도가 평균입니다.
이상입니다.
다음에도 좋은정보로 인사드리겠습니다.